본문 바로가기
가르치고 배우고

쉽게 넘길 수 없는 "소아청소년 우울증"

by Special J 2022. 3. 22.
728x90

어른 뿐 아니라 아이들도 우울한 감정으로 많이 힘들어 하는 현실속에, 마음이 힘들어도 잘 표현 못하는 경우가 많아 초기에 발견하지 못할 때가 많다.

 

마음이 어려운 경우, 마음 성장과 학교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성인들도 감정 표현이 미숙하고, 우리의 감정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데 아이들은 얼마나 더 복잡하고 힘들까?

 

아이들의 마음 상태를 잘 모르는 상태에서 어른들의 기준에 맞지 않는다고 다그치거나 훈육을 한다면 아이들은 어른들에게 마음의 문을 닫을 것이다.

 

오죽하면

“어른들은 몰라요”

라는 말이 있을까.

 

왜 아이들 (소아청소년)은 우울해할까?

 

소아청소년의 우울한 감정을 높이는 요소

  • 가정의 불화
  • 괴롭힘, 왕따
  • 육체적, 감정적 또는 성적 학대
  • 우울증 또는 가족력
  • 학교 전학과 같은 환경적 변화

외 부모님의 이혼 혹은 별거, 사별, 학교에서의 교우 관계 등 많은 요소가 있다.

 

소아청소년 우울증의 증상은?

  • 식욕이나 체중의 변화
  • 수면장애 (불면증 or 과민증)
  • 우울하거나, 잦은 눈물, 잦은 짜증
  • 학교나 가정에서의 사회적 고립
  • 자살, 절망 또는 무력감에 관한 이야기 및 반복적인 생각
  • 집중력 저하
  • 지속해서 피곤하거나 지침
  • 낮은 결단력
  • 낮은 자신감
  • 공허함을 느끼거나 감정이 없음
  • 이전에 즐겼던 활동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을 잃음
  • 자해

어른들과 다르게 소아청소년의 경우, 짜증을 내고 화를 내는 것이 더 흔한 징후이다.

게다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어린아이들은 종종 그들이 어떻게 느끼는지를 설명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또다른 10대들은 다른 사람들의 판단을 두려워하여 그들의 감정적인 고통을 숨기려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이 된다면?

 

아이들과 이야기 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이 그들을 힘들게 하고 있고, 괴롭히는지 그리고 그들의 감정이 어떤지 파악해야 한.

이는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아이를 지도하고 있는 학교와 학원에서도 꼭 필요하다.

 

문제의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

어른들 혹은 누군가에게는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예민한 시기의 아이들에게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자녀가 부모와 혹은 교사와 당신과 대화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당신이 그들을 걱정하고 있고 그들에게 당신이 필요할 때 당신이 거기에 있다는 것을 알려줘야 한다.

 

그리고 다른 가족, 친구 또는 학교에서 누군가와 같이 그들이 신뢰하는 다른 누군가와 대화하도록 격려해야 한.

 

다른 부모를 포함하여 자녀를 아는 다른 사람과 대화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나이가 몇 살이건 아이들 또한 하나의 인격체다.

인격체이기 때문에 존중해야 한다.

 

그저 어른이라는 이유로

 원래 그런 거

라고 쉽게 받아들이고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면, 아이들은 마음을 닫고 더 이상 어떠한 속마음도 이야기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성인인 우리도 누군가에게 마음이 힘든 이야기를 했을 때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공감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면 실망하고 마음을 닫는 경우가 생기지 않는가.

 

어려서 건강한 마음이 커서도 건강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 된다는 것을 기억하자.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