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육4

나는 Slow Learner (느린 학습자) 일까? Fast Learner 가 있다면 즉 배움에 있어 빨리 습득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이와 반대되는 느리게 그리고 천천히 꾸준히 노력하여 성취를 이루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는 이를 Slow learner 혹은 Struggling Learner 라고 한다. 그렇다면 Slow Learner를 학습 장애로 볼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 Slow Learner의 경우, 학문적 기술을 배울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배움의 속도와 깊이가 같은 동학년생에 비해 낮은 학생들을 뜻한다. Slow Learner 들의 경우,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빠른 습득력을 가지고 있지 않아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기위해, 성공하기 위해 더 많은 반복, 더 많은 시간을 가져야 한다. 인내력과 꾸준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빠른 습득자들 보다 결과.. 2022. 3. 7.
나는 Fast Learner (빠른 학습자) 일까? 사람은 누구나 배움의 속도가 다르다 . 빨리 쉽게 습득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천천히 습득하는 사람이 있다. 우리는 이러한 학습자들을 Fast Learner (빠른 학습자) 그리고 Slow Learner (느린 학습자) 라고 한다. 말 그대로 Fast Learner 는 빨리 습득하는 사람, 빨리 배우는 사람이고 이와 반대되는 것은 Slow Learner 라 일컫는다. Fast Learner 의 특징은? 모든 것을 알고, 난 빨리 습득해. 라는 마음가짐으로, 게을러지고 나태해질 수 있다. 노력의 비중이 줄어들게 된다. 연구에 따르면 빠른 학습자(특히 언어에 출중한 사람)는 우리 뇌의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로 알려진 백질이 더 많고 대칭적인 두뇌가 더 적다는 것이 밝혀졌다. 빨리 배우거나 빨리 배우는 것은 우.. 2022. 3. 5.
대한민국 교육 종류와 교육 전달 방법 (Learning Modalities) 무언가를 배우는 것에 있어 그 시기를 놓치게 되면, 새롭게 시작하는 것은 참 어렵다. 어렸을 땐 잔소리로만 듣던 “배움에는 시기가 있는 거야.” “지금을 놓치면 배우고 싶어도 못 배워." "하고 싶어도 못해”. 그렇다면 우리의 연령에 맞는 교육은 무엇이 있을까? 다음은 대한민국의 교육 종류이다. (사교육은 언급하지 않음) 유아교육 – 어린이집, 유치원과 같이 초등학교 입학 전 유아기 아이들이 받는 교육을 말한다 초등교육 – 초등학교와 같은 초등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며 1차 교육이라 한다. 중등교육 – 청소년을 대상 즉 중학생/고등학생들이 받는 교육. 2차 교육이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분리됨 각 국가의 제도에 따라 통합되어 있는 곳도 있다.) 고등교육 – 전문대학 즉 전문학사 이상.. 2022. 3. 4.
교육이란? Education and Pedagogy 사람은 누구나, 인종, 국적, 성별, 나이 이 모든 것을 불문하고 교육을 받는다. 그렇다면 1. 교육이란 무엇일까? 영어로는 “EDUCATION”과 “PEDAGOGY”로 Education은 “교육”을 뜻한다. 라틴어 Educo (E – from, out of – 밖으로, ~로 부터) Duco ( I lead, I conduct.- 내가 이끈다. 꺼낸다) 즉, I educate, I train. 내가 기르고 양육하고 바깥으로 끄집어내다 라는 뜻이다. 다른 말로 하면, 잠재된 인간의 선천적 능력을 교육을 통해 “인간의 선천적 능력을 발현시킨다.” 라는 것이다. Pedagogy는 그리스어 Paidos (Child)+Agogas (Direction) 즉, “아이들에게 방향을 제시한다.” 라는 뜻으로 우리가 알고.. 2022. 3.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