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르치고 배우고

[교육심리] 인지적 접근방법이란?

by Special J 2022. 3. 11.
728x90

 

필자는 한 때 청소년 대상으로 하는 분야에 종사했었다.

그 직업을 갖고 있는 동안,

아이들과 함께 하는 순간은 너무나도 즐거웠는데

그만큼 나 자신과의 감정싸움도 많이 했다.

 

오늘은 기분 좋게 헤어지고, 그 다음 날은 입이 한가득 나오고.

어느 장단에 춤을 쳐야 할 지 답답하던 그 시절,

청소년들의 성향이 궁금해졌었다.

 

한 발자국 다가가면 두발자국 다가오는 아이들이 있었던 반면,

한 발자국 다가갔을 때 두발자국 뒷걸음질하는 아이도 있으니.

 

이 아이들의 심리가 너무 궁금하여 조사를 했던 기억이 있다.

교육심리학이라는 큰 틀 아래에서.

 

교육 심리학은 무엇인가?

 

교육 심리학은사람들은 어떻게 학습하는가에 대한 연구 뿐 아니라,

교육 방법, 교육 과정, 개별적 학습 차이를 포함

사람들이 어떻게 새로운 정보를 배우고 보유하는지를 이해하는 것”

을 목표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이 심리학 분야는 유아기와 청소년기의 학습만이 아닌,

평생 동안 학습에 관여하는 사회적, 정서적, 인지적 과정이 더해진다.

 

교육심리학 분야는

발달심리학, 행동심리학, 인지심리학을 포함한

여러가지를 수반하는데,

청소년을 알아가기 위해서 청소년기 학생들에 대하여 조사를 했었다.

 

 

청소년기 특징

청소년기의 청소년들은 종종 한계를 시험하고

그들이 누구이고 그들이 되고 싶은 장래에 대한 질문을 탐구하면서

새로운 정체성을 탐구한다.

그래서 시기 청소년들은 자아중심적 성향이 두드러지며,

다른 사람을 의식하면서 관심을 끌기 위한 행동이 나타나고,

모든 사람이 지켜야 하는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윤리나 도덕관보다는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도덕적 사고로 판단하는 도덕적 상대주의가

시기에 나타난다.

 

우리나라에 2병이 유행했었다.

2 사춘기의 절정인 시기를 빗대어 하는 말이었다.

시기의 아이들을 무작정 이해하기엔 너무 힘들었기에,

인지적 접근 방법을 공부하여 아이들에 대하여 공부하기로 했다.

 

인지적 접근 방법인란?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배우고, 기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인지적 접근 방법이다.

 

그렇기 때문에

10대들을 먼저 파악해야 하겠다고 생각을 했고, 지켜봤다.

이 아이들이 학습에 있어 어떤 것이 동기부여가 되는지,

학습한 것을 어떻게 기억하는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등.

 

그 당시 느낀 건 내가 만난 10대는,

그들의 성장 환경과 기질에 따라,

그리고 모든 사람은 모두 같지 않기에 단정지어 말할 순 없지만,

 

단순하면서도 감정의 표현에 있어서는 거침없었다.

 

그러한 솔직한 감정으로 인해 상처받을 때도 있었지만

10대들이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고,

싫어하는 부분에 있어

어른이라는 이유로 강요하면 안되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내 입장에서 일방적으로 말하는

단순 스피커가 아닌

청자, Listener 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오히려 아이들을 통해

사람과의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다시 한 번 배웠다고할까?

 

교육심리학에서 말하는 인지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아이들 뿐 아니라

사회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때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나의 기준으로 판단을 내리고 결정을 짓는 것이 아닌,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듣는자가 되어진다면

어린 아이들을 이해하는 것 뿐 아니라

당장 내 옆에 있는 사람도,

직장 상사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728x90

댓글